D7000(40)
-
토키나 10-17mm Fisheye 테스트
토키나 10-17 Fisheye 영입하고 테스트 해봤는데 역시나 화각이 넓어서 그런지 노출 조절하는게 적응하는 관건인것 같습니다. 배율은 10mm에서 니콘 10.5mm Fisheye와 거의 동일하고 17mm 에서는 더 큽니다. 화질은 아무래도 단렌즈인 니콘 10.5가 더 좋긴하지만 둘다 써본 바로는 크게 차이는 나지 않더군요. 크롭용 렌즈인데 풀프레임 바디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14.5mm 이상에선 비네팅이 안생기고 시그마 15mm Fisheye 와 거의 동일한 외곡과 화각을 보여줍니다^^ http://ohs957724.blog.me/
2013.08.05 -
식탐
호랑나비.. 호랑나비과 나비들에게 자주 보이는 모습입니다. 산호랑나비도 그렇고 제비나비도 그렇고 흡밀을 하려고 안까지 쑥 들어갈때가 많은데 이때 날개 잡아 올려도 도말 못 갈 정도로 식탐에 빠져있습니다 ^^ http://ohs957724.blog.me/
2013.07.22 -
암어리표범나비
암어리표범나비.. 서식지가 거의 파괴 되어서 얼마 남지 않았는데 그나마 보여서 다행인 녀석입니다. 예전같이 바글바글 보이지는 않았지만 여기저가 보여서 즐거웠네요 ^^ http://ohs957724.blog.me/
2013.06.20 -
우화 직전의 부전나비 번데기 ~
우화하기 바로 직전의 부전나비 번데기 입니다 ~ 날개 윗면이 파란색으로 수컷인걸 알 수 있네요 ^^ 번데기 크기는 약 7mm 정도로 작은 쌀알과 비슷한 크기 입니다 . 번데기가 작은 만큼 나비도 손톱만한 귀여운 녀석이 나왔네요 ~ 번데기 위 왼쪽의 노란 부분이 날개가 몸통에 붙어 있느 부분입니다. 날개는 윗면이 보이는데 우화하고 나오면서 위로 올라가고 거꾸로 메달려 말리면서 평평하게 펴지게 됩니다. 노란 부분 오른쪽의 검은 부분은 겹눈으로 머리부분이 앞쪽으로 숙여져 있고 그 사이에 실선으로 보이는게 더듬이로 몸 앞쪽으로 붙어 있습니다. 우화 직전이라 성체로 다 성숙이 되어서 몸통 파란 부분과 꼬리쪽에 미세한 털까지 다 보이네요 ~ 우화부전 없이 무사히 나와서 자연으로 돌아갔습니다^^ http://ohs9..
2013.06.13 -
부전나비 들이대
부전나비 들이대 ~~ 흰색에 겹눈 검은색은 노출 맞추기가 힘든데 그늘도 없는 땡볕 아래서는 LCD 확인이 안되서 초점이 맞는지 안맞는지 알 수도 없습니다. 나중에 와서 모니터로 확인해야 되는데 하나도 안맞았으면 멘붕입니다 ㅋ http://ohs957724.blog.me/
2013.05.29 -
쇳빛부전나비
쇳빛부전나비.. 작년 같으면 많이 보였을텐데 올 봄 날씨가 변덕스러워 추위가 자주 오는 바람인지 봄 나비들 개체수가 정말 적네요 .. 쇳빛도 겨우 2마리 봤는데 사진은 1마리밖에 못찍었다는 .. 그나마 나온지 얼마 안되는 깔끔한 녀석이라는게 위안이네요 ~~ http://ohs957724.blog.me/
2013.05.13 -
초접사 그까이꺼 그냥 대충 ~
초접사 그까이꺼 그냥 대충 ~~ 접사링 9개 꼽으면 되는거 아녀?? 제가 탐론 60마에 접사링 3개 꼽고 찍은후 같이 가셨던 분들 접사링 6개 접수해서 6개 찍고 다시 9개 찍으니 두분도 그대로 뽑아서 마운트해 찍으셨다는 ㅋ 모델은 절친이웃이신 하이드님 ~~ 탐론 초점거리가 길어서 접사랑 9개 마운트해도 외장 스트로보로 빛이 잘 갑니다 ~ 앞에 3개는 제 싸구리 호루스벤누 AF 접사링이고 나머지 6개는 부르주아 아저씨들의 켄코 접사링 ~~ 성능은 똑같지만 만듬새는 확실히 켄코가 좋습니다 .. 그런데 가격이 너무 미친듯해서 전 저렴한 호루스벤누 사용하고 있는데 선택은 개인의 몫 !!!! 접사링 3개 마운트하고 촬영한 애호랑나비 알 입니다. 최대 배율인 1:1 이고 화질저하는 크게 없습니다. 접사링 6개 마..
2013.04.29 -
[탐론60마] 애호랑나비 디텔샷
탐론 60마 영입하고 렌즈 테스트 겸 찍어 봤습니다. 해상도는 생각보더 더 좋네요 ~ 니콘 구형 60마랑 비교해서 더 쨍하게 찍힙니다. 색도 진하지 않으면서 깔끔하고 무엇보다 푸른 색감으로 찍혀서 자연광이나 특히 후뢰시로 찍을때 누렇게 나오지 않은 점이 제일 좋습니다. 크롭바디 용이라는게 약점인데 FF바디에서 비네팅이 심하지 않을 정도로 렌즈 써클이 큰 편입니다. 렌즈 최소 초점거리가 렌즈 앞에서 10cm로 7cm인 니콘 구형 60마보다 더 길어서 초접사시 빛이 더 넓게 들어가는 점도 있습니다. 최소 조리개 2.0으로 제일 밝은 마크로 렌즈라는 소개를 홈페이지에서 하고 있는데 조리개 2.0은 보류입니다. 이게 생각보다 긴 거리인 3m 이상 떨어져야 2.0으로 조리개가 떨어집니다. 화각과 피사체를 생각해서..
2013.04.17 -
이륙순간
물빛긴꼬리부전나비의 날아오르는 순간입니다. 이 장면 찍을려고 정말 여러번 시도했었던 기억이 나네요 ~ 디테일한 부양샷을 찍고 싶어서 조리개를 조이고 찍었는데도 가까이 들이대서 그런지 심도 확보가 어려웠습니다. 물빛긴꼬리부전나비도 윗면의 색이 먹부전이나 부전나비 암컷처럼 어두운 색인데 빛의 각도에 따라서 미묘하게 색이 보이네요~ 물론 먹부전이나 부전나비 암컷도 마찬가지입니다. 작년에 찍은 사진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한컷 중 하나입니다 ^^
2013.03.02 -
망원슈터와 제삼줄나비
제삼줄나비.. 도망이라도 갈까 조심조심 접근하는 접사 마니아와 제삼줄나비 ~ 제삼줄나비는 흔하디흔한 제일줄나비와 거의 비슷하게 생겼지만 강원도 일부지역에서만 보이는 보기 힘든 나비입니다. 작년에 두세마리 봤는데 올해도 봤으면 좋겠네요 ~~ 생각보다 덜 까칠해서 손에도 잘 올라와주는 착한 녀석이었습니다 ~ 접사맨들이 사용하는 망원렌즈는 거의 대부분이 시그마 180마크로 렌즈 입니다. 얼마전에 시그마에서 신형 180마가 나왔는데 가격이 넘사벽이더군요 ㄷㄷㄷ 구형 180마 중고가 그나마 저렴하긴하지만 (구형도 신형 구형이 똑 있음 ㅋ) 올겨울도 영입을 못하고 대타삼이 고구마 하나 영입했네요 .. ( 시그마 70-300 DG macro) 내년에는 꼭 180마를 들고 필드에 나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ㅋ
2013.02.28 -
봄처녀나비
시골처녀나비.. 우리나라에 처녀나비라고 이름붙은 나비는 3종류가 있습니다. 도시처녀나비, 시골처녀나비, 봄처녀나비 이렇게 3종으로 봄처녀나비는 이름과는 다르게 가장 늦게 보입니다. 이녀석을 보려면 멀리가야되는게 항상 고민이네요 ~~
2013.02.27 -
먹그림나비 우화순간의 기록
어제에 이어서 먹그림나비의 우화순간입니다. 먹그림나비는 남부와 서해 도서 지역에서 볼 수 있는 남방계 나비로 녹색눈과 빨간 빨대(입)이 매력적인 나비입니다. 매년 한 두마리씩 지인분의 조공으로 사육을 했었는데 작년은 넘어갔고 올해는 다시 입양하고 싶네요 ~
2013.02.26